서울시는 2025년 2차 모집을 통해 청년형과 신혼Ⅰ형 청년안심주택을 총 447세대(신규 340세대, 재공급 107세대) 규모로 공급합니다.
보증금과 월세 조건은 단지별로 차이가 크므로, 신청 전 입주 자격과 소득·자산 기준을 확인하고, 청약 일정부터 계약·입주 절차까지 전체 흐름을 미리 파악하는 것이 좋습니다.
특히 가점제 적용 여부와 계산 방식은 청년안심주택 가점 계산 방법을 참고해, 본인의 점수를 사전에 체크해 두면 경쟁력을 높일 수 있습니다.
{getToc} $title={목차}
신규공급 (340세대) 조건
신규공급 340세대는 퀸즈W 청량리역, 노원역 해링턴타워, 에드가 수유·미아,
에스앤디 등 5개 권역에서 공급됩니다.
청년형은 보증금 약 2천1백만 원대부터
최대 5천4백만 원대, 월세는 9만 원대부터 24만 원대까지입니다.
신혼Ⅰ형은
전용면적 35㎡대에서 41㎡대, 보증금 4천3백만 원대부터 7천3백만 원대, 월세는
19만 원대부터 32만 원대 수준입니다.
임대조건은 시세 30% A형과 시세 50%
B형으로 나뉘며, 보증금과 월세를 상호 전환(보증금 최대 50%까지 월세 전환, 이율
2.5% / 월세 최대 50%까지 보증금 전환, 이율 6%)할 수 있습니다.
{inAds}
재공급 (107세대) 조건
재공급 107세대는 골드타워, BX201, 건대입구역 더포디엄, 잠실센트럴파크, 선릉역
마에스트로, 용산 원효 루미니 등 공가 재공급 물량입니다.
청년형은 보증금
2천6백만 원대부터 7천1백만 원대, 월세는 9만 원대부터 24만 원대이며,
신혼Ⅰ형은
보증금 4천만 원대부터 1억5천만 원대, 월세 18만 원대부터 66만 원대까지 폭이
큽니다.
기존 입주 흔적이 있을 수 있으므로 현장 확인을 권하며, 신청 일정과
절차는 ‘신청일정과 당첨 이후 절차’ 글에서 미리 확인하면 안전합니다.
최대 거주기간 및 재계약 조건
청년안심주택은 한 번 입주하면
최대 몇 년까지 안정적으로 거주할 수 있는지가 가장 큰 관심사입니다.
이번
2025년 2차 공급에서의 규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
청년형: 최초 계약 2년 + 재계약 4회 가능 ⇀ 최대 10년 거주
자격 유지가 전제되며, 재계약 시 소득·자산 기준을 초과하면 임대료가 조정됩니다.
예를 들어 소득이 일정 기준 이상 오르면 임대료가 할증될 수 있으므로, 재계약 시점의 소득 변화를 미리 고려하는 것이 좋습니다. -
신혼Ⅰ형: 최초 계약 2년 + 재계약 최대 9회 가능 ⇀ 최대 20년 거주
다만 미성년 자녀가 3명 이상이면 거주 기간에 제한이 없고 무기한 연장이 가능합니다.
신혼Ⅰ형은 거주 안정성이 특히 길기 때문에, 장기 거주 계획이 있는 부부라면 이 유형을 노려볼 만합니다.
신청 제한 및 중복 신청 불가
아무리 자격 요건이 맞더라도, 형식 요건에서 걸려 탈락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번 공고에서 주의해야 할 제한 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
같은 세대 내에서 중복 신청 불가
예를 들어 형제·자매가 각각 신청하면 한 명만 인정됩니다. -
무주택세대구성원이어야 함
주민등록상 같은 세대에 속한 구성원 모두가 주택을 보유하지 않아야 합니다.
부모가 지방에 집을 갖고 있어도, 주민등록상 세대가 같으면 탈락 사유가 됩니다. -
공공임대 불법 양도·전대 경력
적발 후 4년 이내에는 신청이 불가능합니다.
과거 다른 임대주택 계약에서 불법 전대 사실이 있었다면 이번 청약도 제한됩니다.
단지별 부대 조건
보증금과 월세 외에도 생활 편의 요소가 단지 선택의 중요한 기준이 됩니다.
- 주차장 운영 방식: 세대당 1대 우선 배정인지, 나눔카만 가능한지 단지별로 다릅니다.
- 나눔카 운영 여부: 일부 단지는 입주민 전용 나눔카가 있어 차량이 필요할 때 편리합니다.
- 외부인 주차 제한: 외부 차량 주차가 원칙적으로 불가능한 곳도 있으니 방문객이 잦다면 확인이 필요합니다.
- 반려동물 동반 가능 여부: 일부 단지는 반려동물 입주가 가능하나, 공용공간 이용 시 제한 규정이 있을 수 있습니다.
신청 일정 요약
- 모집공고일: 2025년 7월 30일
-
접수 기간: 2025년 8월 11일(월) 10:00 ~ 8월 13일(수) 17:00
접수는 SH공사 청약시스템에서 진행됩니다. -
입주 예정일: 2026년 1월 30일 ~ 3월 3일
당첨 이후 절차와 계약 시 필요한 서류는 2025년 서울시 청년안심주택 신청일정과 당첨 이후 절차까지에서 미리 확인하면 좋습니다.
2025년 2차 청년안심주택은 신규와 재공급 모두 조건과 위치가 다양해 선택 폭이
넓습니다.
본인의 소득·자산 요건과 가점 상황을 고려해 전략적으로 지원하고,
상호전환 제도·재계약 조건·신청 제한 사항을 미리 확인하면 청약 성공 확률을 높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