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내가 지금 지원 대상인지,
어떻게 신청하는지,
언제 돈이 들어오는지 ❞
딱 이것만 알면 됩니다.
{getToc} $title={목차}
이 글을 읽어야 할 사람
- 혼자 자취 중인데 월세 부담이 큰 20~30대
- 부모님과 따로 살고 있는 무주택 청년
- 월세 20만 원 이하 방에 살고 있는 사람
- ‘청년월세 지원’이 뭔지 한 번도 들어본 적 없는 사람
나는 받을 수 있을까? (지원 자격 체크)
나이 기준 – 출생연도 기준으로 확인하세요
청년월세 특별지원은 매년 신청 연도 기준으로,
출생연도가 아래 범위에 해당되면 신청할 수 있습니다.
신청 연도 | 신청 가능한 출생연도 | 해당 나이 (신청연도 기준) |
---|---|---|
2024년 | 1989년생 ~ 2005년생 | 19세 ~ 35세 |
2025년 | 1990년생 ~ 2006년생 | 19세 ~ 35세 |
2026년 | 1991년생 ~ 2007년생 | 19세 ~ 35세 |
“만 나이” 기준이 아닙니다.
단순히 출생연도만 보면 됩니다.
예를 들어 2025년에 신청한다면 1990년생부터 2006년생까지는 모두 신청 가능!
📌 추가 팁
- 생일이 안 지난 상태라도 출생연도만 맞으면 무조건 됩니다.
- 예: 2006년생인데 생일이 12월이어도, 2025년엔 신청 가능합니다.
{inAds}
무주택 + 독립거주 조건
- 본인 명의로 주택을 소유하고 있으면 무조건 탈락
⇀ 분양권, 입주권도 주택으로 간주됨 - 부모님과 주소지가 분리돼 있어야 함
⇀ 자취방 전입신고 필수
⇀ 부모님 집 주소 그대로면 신청 불가
전입신고는 정부24 또는 동사무소에서 즉시 가능
소득 기준 – 2단계로 나뉨
구분 | 조건 |
---|---|
청년가구 | 본인 + 배우자 + 자녀 ⇀ 중위소득 60% 이하 |
원가구 | 부모 포함 ⇀ 중위소득 100% 이하 |
⇀ 두 기준을 모두 충족해야 해요
⇀ 단, 아래 경우엔 ‘부모 소득’을 아예 보지 않아요:
- 30세 이상
- 혼인·이혼한 사람
- 미혼부·모
- 30세 미만이지만 부모와 생계를 완전히 분리했다는 지자체 인정을 받은 사람
※ 원가구란?
청년 본인 외에 부모의 소득과 재산을 함께 합산해 심사하는 가구 기준입니다.
단, 30세 이상, 혼인·이혼, 생계 분리 인정 시 부모 소득은 제외됩니다.
📌 생계 분리 인정 기준은 까다롭기 때문에 관련 서류를 잘 준비해야 함
전입일, 소득증빙, 가족관계증명 등 일치 여부 중요
➤ ➤ 복지로 자가진단에서 소득기준 미리 확인 가능
제외 대상 꼭 확인하세요
- 2촌 이내 가족(부모·형제 등)의 집에 월세로 사는 경우
- 공공임대주택 거주자 (기숙사, 공무원임대 포함)
- 쉐어하우스처럼 ‘한 방에 여러 명 사는 전대차’의 경우
⇀ 단, 본인 명의로 따로 임대차계약 맺은 경우는 예외적으로 가능
{inAds}
얼마 받을 수 있을까?
- 월 최대 20만 원
- 최대 24개월(2년)
- 본인 계좌로 현금 지급
- 실제 내는 월세만큼 지원 (보증금·관리비는 제외)
예:
월세 17만 원 내는 경우 ⇀ 17만 원 지급
주거급여 5만 원 받고 있음 ⇀ 12만 원만 추가 지원
{getCard} $type={post} $title={Card Title}
신청은 어떻게 해요?
온라인
- 복지로 홈페이지 접속
- 청년월세 특별지원 ⇀ 신청하기
- 스캔 또는 휴대폰으로 서류 첨부
오프라인
- 동사무소 또는 시·군·구청 방문
- 서류 지참해서 직접 제출
📌 온라인/오프라인 모두 ‘신청일 기준’이 중요해요
늦게 내면 그 달 지원은 못 받을 수도 있어요
꼭 필요한 서류는?
서류명 | 어디서 준비? | 비고 |
---|---|---|
신청서 | 복지로 또는 동사무소 | 현장 비치 또는 온라인 작성 |
임대차계약서 | 계약서 원본 또는 확정일자 날인본 | 전입신고 되어 있어야 함 |
월세 이체 내역 3개월치 | 은행앱/인터넷뱅킹 | 통장 사본, 계좌이체 내역 등 |
가족관계증명서(청년+부모) | 정부24 | 주민번호 뒷자리 포함 발급 |
입금 통장 사본 | 본인 명의 계좌 | 청약통장도 함께 제출 권장 |
TIP
카카오뱅크, 토스 등에서도 계좌이체내역 PDF 저장 가능
가족관계증명서는 온라인 발급 후 파일로 제출 가능
{inAds}
언제부터 받을 수 있어요?
- 신청 후 약 4~6주 소요
- 첫 지급일: 보통 매달 25일
- 예: 4월 신청 ⇀ 5월 중순 승인 ⇀ 6월 25일 지급
예산 상황에 따라 하루 이틀 오차 있을 수 있음
공휴일이면 전날 지급됨
{getCard} $type={post} $title={Card Title}
자주 묻는 질문
Q. 보증금 있는 반전세도 되나요?
A. 네. 보증금은 제외하고 ‘월세만’ 계산해서 지원돼요
Q. 하숙집인데 계약서 없어요. 안 되나요?
A. 입실확인서 + 영수증 있으면 가능
Q. 부모랑 사이 안 좋아서 소득 서류 못 받는데요?
A. 30세 이상이거나, 생계 분리 인정되면 부모 소득 안 봐요
Q. 연세로 한꺼번에 냈는데도 지원받을 수 있어요?
A. 계약서와 영수증만 있으면 월세로 환산해 지원받을 수 있어요
신청 기간 & 유의사항
- 신청은 매년 초부터 약 1년간 진행됩니다
⇀ 보통 2월 말부터 다음 해 2월까지 신청 가능
⇀ 예: 2025년 신청 기간은 2025.2. 말까지 - 신청 결과는 접수 후 최대 45일 내 통보
- 서류 누락 시 15일 안에 보완하지 않으면 자동 취소 처리
- 다른 월세 지원 사업(서울시, 지자체 등)과는 중복 지원 불가
⇀ 이미 다른 곳에서 받고 있다면 종료 후 다시 신청 가능
매년 신청기간과 방식은 복지로 홈페이지에서 공지됩니다
➤ ➤ 신청 가능 여부 미리 확인하러 가기
📞 어디에 문의해요?
- ☎ 청년월세 전담 콜센터: 1600-0777
- 자가진단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