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반환대출 금리 낮추는 법: 대환대출부터 금리 절감 핵심 전략

전세반환대출 금리가 5%라면, 요즘 기준으로는 확실히 높은 편입니다. 그렇다면 왜 이런 금리가 적용될까요? 그리고 지금보다 낮은 금리를 적용받으려면 어떤 방법들이 있을까요? 지금부터 차근히 알아보겠습니다.

{getToc} $title={목차}

지금 시장의 평균 금리는?

2025년 6월 기준, 한국주택금융공사(HUG)에 따르면 보증부 전세대출 금리는 약 2.88%~5.08%입니다. 그러나 실제 은행들이 제공하는 금리는 대부분 3.3%~3.8%대에 형성되어 있습니다. 국민은행, NH농협은행, 케이뱅크 등이 여기에 해당하죠.

따라서 같은 보증 조건임에도 5% 금리는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1억5000만원을 대출받는 경우:

  • 5% 금리: 연 이자 약 750만원
  • 3.5% 금리: 연 이자 약 525만원

연간 약 225만원의 차이가 발생하며, 몇 년 누적되면 그 차이는 수백만원에 달할 수 있습니다.

금리별 이자 비용 비교 표

금리 차이에 따른 이자 절감 효과는 얼마나 될까?

앞서 본 그래프처럼, 금리가 낮아질수록 이자 부담은 크게 줄어듭니다.
구체적으로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1년 이자 차이

  • 5% 금리: 750만원
  • 3.5% 금리: 525만원 ⇀ 225만원 절감
  • 3.05% 금리: 457만5천원 ⇀ 292만5천원 절감

3년 누적

  • 5% 금리: 2,250만원
  • 3.5% 금리: 1,575만원 ⇀ 675만원 절감
  • 3.05% 금리: 1,372만5천원 ⇀ 877만5천원 절감

5년 누적

  • 5% 금리: 3,750만원
  • 3.5% 금리: 2,625만원 ⇀ 1,125만원 절감
  • 3.05% 금리: 2,287만5천원 ⇀ 1,462만5천원 절감

금리 차이의 누적 효과는 상당합니다.
금리를 1~2%포인트 낮추는 것만으로도 수백에서 천만원 이상 절감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단순히 현재 금리에 안주하기보다는, 시장의 평균 금리와 비교해 대환 여부를 검토하는 것이 장기적으로 매우 유리할 수 있습니다.

 

{inAds}


금리를 낮출 수 있는 6가지 방법

전세반환대출 금리 인하 6가지 방법

1) 대환대출로 갈아타기

기존 대출의 금리가 높다면, 대환대출을 통해 더 낮은 금리로 전환할 수 있습니다.

  • 케이뱅크: 최저금리 3.05%
  • NH농협은행: 약 3.59%
  • 하나은행: 약 3.885%
    (2025년 6월 기준)

주의할 점:
대환 시 중도상환수수료를 꼭 확인해야 합니다. 보통 대출 3년이 지나면 면제되지만, 수수료와 절감할 이자를 비교하여 실제 이익이 있는지 따져봐야 합니다.

2) HUG 보증 활용하기

HUG 보증을 이용하면 은행의 리스크가 줄어 금리를 낮출 수 있습니다. 하지만 보증료가 발생하며, 이는 대출금, 기간, 신용등급에 따라 0.05%~0.20%까지 차등 적용됩니다.

TIP: 금리 인하 효과뿐만 아니라 보증료를 포함한 총비용을 따져야 실질적인 절감 여부를 판단할 수 있습니다. 은행에서 견적을 받아 비교하는 것이 좋습니다.

3) 금리 유형 확인하기

대출 금리는 보통 세 가지로 나뉩니다:

  • 변동금리: 초기에 낮지만, 시장금리가 오르면 부담 증가
  • 고정금리: 처음부터 끝까지 동일한 금리 유지
  • 혼합형 금리: 일정 기간 고정 후 변동으로 전환

전세반환대출은 상품에 따라 고정금리 선택이 제한적일 수 있으니, 은행별로 어떤 금리 옵션이 가능한지 반드시 확인하세요.

4) 다자녀 가구 우대금리 활용

다자녀 가구의 경우 일부 은행에서 우대금리를 제공합니다. 예를 들어 국민은행은 전세대출에 0.15%포인트 인하 혜택을 주지만, 전세반환대출에도 적용되는지는 은행마다 다를 수 있습니다.

은행에 사전에 확인하고 혜택이 있다면 적극 활용하세요.

5) 대출 한도 결정 요인 파악

전세반환대출의 최대 한도는 원칙적으로 세입자 보증금 내에서 100%까지 가능하지만, 실제 한도는 다음의 요소들에 따라 달라집니다:

  • 기존 임대인의 부채
  • 주택 종류 (예: 다가구 주택, 오피스텔 등)
  • 근저당 설정 여부
  • LTV (담보인정비율): 주택 가치 대비 대출 비율
  • DSR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 연간 소득 대비 모든 대출의 원리금 상환 비율

특히 근저당이 이미 설정된 주택이라면 대출 한도가 줄어들 수 있으니 사전에 체크가 필요합니다.

6) DSR 규제 확인하기

2025년 7월부터 일부 DSR 규제가 강화되었지만, 전세반환대출은 보증과 담보가 있는 상품이라 규제의 직접적인 영향은 크지 않습니다.

다만, 본인의 전체 대출 규모가 크다면 DSR 기준에 반영될 수 있으니 대출 상담을 통해 영향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inAds}


지금 대출 조건을 점검하세요

지금의 5% 금리는 확실히 시장 평균보다 높은 수준입니다. 다음과 같은 방법을 통해 금리를 낮출 수 있습니다:

전세반환대출 금리 최적화

  • 대환대출 활용
  • HUG 보증 가입
  • 금리 유형 조정
  • 다자녀 우대금리 적용
  • 대출 한도 및 DSR 규제 확인

단, 중도상환수수료, 보증료 등 추가 비용까지 꼼꼼히 비교해야 실제 절감이 가능하니 반드시 확인하세요.

보다 정확한 조건과 비용은 은행 상담이 가장 확실한 방법입니다. 지금 본인의 대출 조건과 시장 금리를 다시 한 번 점검해보세요.

참고자료

다음 이전